우리들

오로지 희망만이 인간을 나락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게다가 희망은 사람을 좀 질리게 하는 면이 있는데, 우리는 대체로 그런 탐스러워 보이는 어떤 것들 때문에 자주 진이 빠지고 영혼의 바닥을 보게 되고 회한의 수렁에 빠지게 된다(11).

 

아니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나는 연경이라는 사람 자체가 아니라 나와 연경이 관계 맺던 방식과 그 두 사람의 관계 형태에서 극적 대비를 발견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21).

 

내가 지켜봐야 했고, 지켜보기를 강요당하다시피 했던 그 일들과 내가 알던 그들의 대비를 보다 드라마틱하게 하기 위해(그래서 그들에게 더욱 철저히 낙담하기 위해) 무의식 중에 설정한 일종의 장치 같은 것은 아니었을까? 나는 자문하곤 했다(16).

 

그렇게 생각하다보면 그런 걸 미리 알 수 있는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고 곧이어 우연인지 운명인지 알 수 없는 삶의 무자비함에 아득한 무력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19).

 

적어도 내가 느끼기엔 상하이에는 진정한 의미에서 시대란 존재하지 않았어. 심지어 현대조차 없었지. 오로지 몰취향이 만들어낸 키치함뿐이었어. 거기에서 우리의 관계를 환기하는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이 어려웠을까? 우리가 맺어온 관계를 상징하는 건 상하이가 가지고 있는 어떤 면이 아니라 그곳에 부재하는 무언가였어. 우리가 가지지 못했고 가질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31).

 

우리 매년 여름마다 여기 올까? 우리가 단 한 번도 이야기해본 적 없는 다음 여름에 대해 이야기할 만큼 현수는 그곳이 마음에 들었던 것이다. 우리가 단 헌 번도 이야기해본 적 없는 다음의 다음, 또 다음의 여름에 대해 이야기할 만큼 현수는, 그리고 우리는 그날의 분위기가 좋았던 것이다. 그 이후 잠시 동안, 결코 길지는 않았지만 모두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분명하게 정적이 흘렀다(35).

 

정말 이게 다야? 이게 끝이야? 그들의 세계는 이렇게 사라져버릴 만한 게 아니었다고, 내가 그 해방촌의 언덕을 올라 도달한 세계는 이런 게 아니었다고 나는 생각했다(38).

 

나는 온전히 나로서 존재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온전히 나로서 존재하게 되는 걸 피하고자 했던 것 같다. 꽤 오랫동안 무엇이 나를 그렇게 만들었나 돌이켜보았지만, 그건 옳은 질문이 아니었다. 오히려 무엇이, 그들이 나를 그렇게 만들 수 있도록 했는지가 더 나은 질문이었던 것 같다(40).

 

모든 것이 끝난 뒤에 그것을 복귀하는 일은 과거를 기억하거나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재해석하고 재창조하는 일이니까. 그것은 과거를 다시 경험하는 것이 아닌 과거를 새로 살아내는 것과 같은 일이니까. 그러나 읽을 사람이 아무도 없는 글을 쓰는 것은 생각보다 고독한 일이다. 그래서 어느 날 나는 글을 쓰다가 어쩌면 내가 영원히 혼자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고, 그게 문득 참을 수 없이 두려워졌다(41).

 

내일의 연인들

 

내가 한 때 머물렀던 남현동 산자락의 조용하고 아늑한 빌라의 소유주는 선애 누나와 그녀의 남편으로, 두 사람은 그곳에서 오년 정도 결혼 생활을 한 뒤 파경을 맞이했다. 그 시기 나는 이십대 후반의 대학원생이었고, 만에 하나 잘되면 이렇게 될 수도 있겠다 싶은 미래에 대한 그럴듯한 전망도 없이 그저 온전한 현재자로서 존재하고 있었다(45).

 

지금은 물론이고, 당시에도 나는 그녀의 그런 말들이 나를 어떻게 그토록 감동시켰는지, 그런 말을 들을 때 마다 왜 더욱 열렬히 그녀를 사랑하게 되었는지 잘 알고 있었다. 그녀나 나를 대단한 사람으로 여겼던 것이, 아니면 적어도 그렇게 여기고 있다고 내가 믿게 만들어주었던 것이, 내가 정말로 그러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나에 대한 그녀의 애정으로 인한 왜곡된 시선 혹은 배려였을 뿐이라고 하더라도 어쩔 도리가 없었다. 나는 그 시기에 그 말이 필요했고, 그녀가 그 말을 제공해주었다는 사실만으로 충분했기 때문이다(59).

 

내가 대학원에 들어간 것도 어떤 거리감을 획득하기 위해서였던 것 같다(62).

 

이제와 돌이켜보면 내가 그 단어를 떠올렸던 이유는 실은 지워과 내가 서로를 구원해줄 수 있는 능력을 가졌던 것이 아니라 그저 서로가 어떤 식으로든 구원이 필요한 사람들이었다는 증거였을 뿐이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서로에게 특별한 사람들이었던 게 아닐 마침 구원이 필요했던 두 사람이었을 뿐이라고(64).

 

정훈이에게 느낀 고마움이나 애정과는 별개로 그냥 그 사람을 사랑하게 된 거야. 그건 거부할 수 있는 종류의 감정이 아니었어. 살다보면 결코 거부할 수 없는 것들이 찾아오곤 하니까. 내가 가진 모든 것들이 그 사람을 선택하는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있었는데, 내가 달리 어쩔 수 없었겠어(69).

 

왠지 그 밤은 영영 지나가지 않을 것만 같았는데, 그것은 내게 앞으로 다가오거나 다가오지 않을 무수히 많은 행복한 시간들과 외로운 시간들의 징후처럼 느껴졌다(72).

 

무사하고 안녕한 현대에서의 삶

 

나는 한참 동안 그 아이를 완전히 잊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그 순간 이미 오래전에 시작된 어떤 영원에 대해 자각하게 되었다. 그것은 한 해가 아니라 십 년이 지나고, 어쩌면 삼십 년이 지난 후에라도 내가 그 불운한 일에 대해, 그 아이에 대해 완전히 잊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함께 찾아왔다. 나는 그 전에도 그 후에도 영원이라는 단어를 그렇게 가까이 느껴본 적이 없었다(118). 

 

두 사람의 세계

 

 연인이 된다는 것은 두 개의 삶이 하나로 포개진다는 뜻이다. 그러나 결별의 순간이 오면 다시 각자의 삶으로 돌아가게 되지만, 어떤 이들은 그 상태가 너무 오래 지속되어 원래의 삶을 잊어버리거나 혹은 잃어버리기도 한다. 나로서는 상상하기 쉽지 않지만 이영선과 하남영에게도 당연히 서로를 알지 못한 채 개별적인 삶을 살아온 시간이 있었다(185).

 

나는 종종 누군가가 다른 사람과 연인이 되려면 어떤 요소가 필요한지 궁금해하곤 했다. 영선과 남영에게 그렇게 되었어야만 하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을까? 두 사람은 그저 우연히 같은 공간에 있었고, 무심결에 건넨 말에 함께 가벼운 외출을 하게 되었고, 그리고 몇 번의 만남, 그보다 많다고 해봐야 십여 차례 정도의 만남을 가진 뒤에는 서로를 사랑하고 있다고 느끼게 되었던 것이다. 남영이 남영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었다면, 영선이 영선이 아니라 전혀 다른 사람이었다면 어땠을까. 그래도 결과는 같았을까? 나는 어쩔 수 없이 이런 생각들을 하게 된다(191-192).

 

 

 

 

 

 

Posted by 양웬리- :